본문 바로가기
중드 속 문화탐방

중국에서는 왜 젓가락으로 밥을 먹을까?

by 중드여행자 2025. 8. 24.
반응형

한국·중국·일본의 젓가락 문화는 어떻게 다를까요? 특히 중국은 왜 숟가락 대신 젓가락으로 밥을 먹게 되었는지, 역사와 식문화의 변화를 통해 알아봅니다."

 


 

··일 젓가락 문화 비교

 

동아시아 3, 한국·중국·일본은 모두 젓가락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사용하는 방식과 젓가락의 모양은 꽤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중국은 밥까지 젓가락으로 먹는 독특한 식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드라마 속에서 밥그릇을 들고 젓가락으로 밥을 쓸어 넣는 장면, 한 번쯤 보신 적 있을 거예요.

그렇다면 중국에서는 왜 젓가락만으로 식사가 가능하게 되었을까요?

 

1. 한국·중국·일본, 젓가락 사용법은 어떻게 다를까?

◈  한국 : 반찬은 젓가락, ·국은 숟가락. 젓가락은 금속 재질로 납작하고 무게감이 있어 사용 난이도가 높은 편입니다.

◈  일본 : 짧은 젓가락으로 밥그릇을 들어 쓸어 먹습니다. 끝이 뾰족해 생선 가시를 발라내기 좋습니다.

◈  중국 : 긴 젓가락으로 밥그릇을 들고 밥을 긁어 먹습니다. 기름진 볶음·튀김 요리에 적합하도록 끝이 뭉툭한 형태입니다.

 

위에서 부터 일본, 한국, 중국의 젓가락


 

 

2. 중국에서 숟가락이 사라진 이유

 

흥미롭게도, 당나라 이전까지만 해도 중국 사람들도 숟가락으로 밥을 먹었습니다.

하지만·명 시기를 거치며 볶음 요리가 크게 발달하면서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  볶음 요리는 기름이 많아 숟가락으로 뜨면 뜨거운 기름까지 함께 먹게 됨.

◈  젓가락을 사용하면 건더기만 집어 먹을 수 있어 훨씬 효율적.

◈  또한 () 문화의 발달로 국물 요리가 줄어들면서 숟가락 사용이 자연스럽게 줄어듦.

 

결국, 중국은 볶음 요리 + 차 문화라는 두 가지 요인으로 젓가락만으로 식사가 가능한 식문화가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중국은 볶음요리 위주 음식
중국 차문화

 


 

3. 나라별 젓가락 모양 비교

 

중국 : 길고 뭉툭한 젓가락. 원형 탁자에서 음식을 나누어 먹기 편하고, 뜨거운 기름 요리에 안전합니다. 붉은 육각 젓가락은 재물을 불러온다고 여겨 인기가 많습니다.

일본 : 짧고 끝이 뾰족한 젓가락. 생선 위주의 식생활과 잘 맞습니다. 주로 나무나 플라스틱 재질.

한국 : 금속제에 납작한 젓가락. 김치·깻잎 같은 얇은 반찬이나 콩류를 집기 좋습니다. 숟가락과 함께 사용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4. 젓가락을 놓는 방식의 차이

 

한국·중국 : 젓가락을 세로로 놓습니다. 특히 중국은 5대10국 시기, 육식을 하는 북방 기마민족의 칼 사용 습관과 의자·식탁 문화의 영향으로 세로 놓기가 정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일본 : 젓가락을 가로로 놓습니다. 젓가락 끝이 상대방을 향하는 것은 공격성을 나타내거나 무례한 행동으로 간주되고 장례식문화와 연관되어 죽음과 관련된 행위여서 가로로 놓는다고 합니다. 

 

같은 젓가락 문화권이라도 이렇게 다른 이유는 결국  음식 재료와 조리 방식, 생활 문화의 차이 때문입니다.

중국에서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풍습도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수백 년 동안 이어져온 음식 문화의 결과인 셈이죠.

 

다음에 중국 드라마나 여행에서 사람들이 밥그릇을 들고 젓가락으로 밥을 먹는 모습을 본다면, 오늘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조금 더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반응형